![]() |
<그래픽> 국내 '장내기생충' 감염자 현황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질병관리본부와 국립보건원은 제8차 전국 장내기생충 감염실태조사 결과, 국민 130만명이 각종 장내기생충 1종 이상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됐다고 22일 밝혔다. yoon2@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김경윤 기자
민물생선을 즐기는 식습관의 영향으로 국내 간흡충 감염 비율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와 국립보건원은 제8차 전국 장내기생충 감염실태조사 결과, 국민 130만명이 각종 장내기생충 1종 이상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정부는 5∼8년에 한 차례씩 장내기생충 감염실태조사를 실시하는데, 지난해에 실시된 제8차 조사는 2004년 이후 8년만이다.
보건 당국은 이번 조사에서 전국 602개 구역 9천가구 약 2만4천명을 대상자로 선정해 대변검사와 식생활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검사 결과 조사 대상자의 2.6%에서 기생충알 양성 결과가 나왔고, 이를 바탕으로 산출한 국내 전체 장내세균 감염자 수 추정치는 130만명이다. 이는 제7차 조사 당시의 추정 감염 인원 180만명보다 약 50만명 적은 것이다.
장내기생충 11종 중 간흡충의 감염율이 1.9%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그 다음이 편충알(0.41%)과 요코가와흡충(0.26%)이었다.요충은 아예 나오지 않았고 회충 등 나머지 7개 기생충의 양성률은 0.04% 이하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간흡충 감염률은 지난 2004년의 2.4%보다는 낮아졌으나 여전히 아시아 최고 수준이었다.
이원자 국립보건연구원 말라리아·기생충과장은 "지난 2008년 중국 발표를 보면 중국의 간흡충 감염률은 1% 수준인데 우리나라는 그 두 배인 2%"라고 말했다.
간흡충 감염은 간암의 원인이 되므로 대변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되면 즉시 약물치료를 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장내기생충은 민물생선을 날로 먹거나, 도마나 칼에 남아 있던 기생충 또는 기생충알이 손이나 다른 채소류에 오염됐을 경우에 감염된다고 보건당국은 설명했다.
16개 시도 중 장내기생충 감염률이 가장 높은 곳은 8.54%인 경북이었고, 전남(7.56%), 경남(6.98%), 광주(5.86%) 등도 높은 편이었다.
경북과 전남은 장내기생충의 숙주인 민물고기가 풍부하게 서식하는 낙동강과 영산강을 끼고 있어 감염률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국립보건연구원 말라리아·기생충과의 조신형 연구관은 "5대강 유역 주민 중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40대 이상 남성은 감염률이 10%에 가깝다"고 말했다.
반면 강원도의 장내기생충 감염률은 16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은 0.09%였다.
조 연구관은 "강원도에는 1급수에 가까운 깨끗한 하천이 많은 데다, 주민들이 기생충에 잘 감염되는 민물생선을 거의 섭취하지 않기 때문에 감염률이 낮은 것 같다"고 추측했다.
기생충이 자주 검출되는 민물고기는 참붕어, 돌고기, 갈겨니, 몰개 등이다. 송어와 숭어는 양식산이 많아 감염의 위험이 낮은 편이다.
이 과장은 "간흡충(93만명)과 요코가와흡충(13만명) 감염자가 국내 전체 장내기생충 감염의 80%를 차지한다"며 "어류가 옮기는 흡충류에 대한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