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날의 칼' 디지털 기기, 치매까지 부른다?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5. 23. 16:18반응형
'양날의 칼' 디지털 기기, 치매까지 부른다?
■ 집중분석 takE '디지털 치매'
디지털기기를 많이 쓰면 뇌(해마)가 줄어든다?
과연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것일까. 디지털기기를 많이 쓴다고 해서 해마가 줄어든다고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디지털기기를 이용하다 보면 머릿속에 저장하기 위해서 노력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의학적으로 해마가 자극될 확률이 상당히 적다.
시각적으로 보고 넘어갈 뿐이지 해마가 자극되서 저장될 여력이 없기 때문에,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해마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예전에는 뇌세포가 파괴만 되지 재생은 되지 않는다는 것이 의학적 대세였는데, 최근에는 해마에 자극을 주면 뇌세포가 다시 생산될 수 있다고 보는 시각이 늘고 있다.
구글이 '우리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했는데, 대학생 46명에게 난이도가 높은 문제와 낮은 문제가 섞인 질문지를 제시했을 때 어려운 질문 앞에서는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고, 인터넷 검색을 바로 떠올렸다.
상당수의 대학생들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머리를 쓰고 뇌를 자극하는 것이 아닌 쉽게 찾을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먼저 떠올린다는 것이다.
또한 컴퓨터로 작업을 하고 저장을 하면 상당수의 사람들은 그 내용을 기억하는 것이 아닌, 저장된 폴더를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기기가 발달하면서 요즘은 골목이 많이 사라졌다. 맞벌이 부부가 많아지고 아이들이 밖에서 노는 시간이 줄어들면서 주로 디지털기기와 시간을 보낸다. 디지털 기기 사용은 주로 좌뇌를 발달시키기 때문에 우뇌와의 밸런스가 깨지게 된다.
이런 아이들이 성장해서 30~40년 후 세월이 흘렀을 때 분명히 사회적인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과학 문명이 발달하면서 생활이 편리해졌지만 비만, 고혈압, 당뇨 같은 만성질환이 증가한 것 처럼 디지털 기기의 발달도 '양날의 칼'인 것이다.
디지털 시대는 인간에게 도움도 주지만, 사람들을 의존하게 만들기 때문에 거기서 오는 박탈감과 정서적 불안감은 앞으로 더 심해질 것으로 본다.'Smart Life > 스마트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금 많다 싶게 쓰세요’ 자외선차단제 사용법 (0) 2013.05.24 오존주의보란? (0) 2013.05.24 美 배아줄기세포 복제,제2의 ‘황우석 사기극’ 가능성 (0) 2013.05.23 KIA 신승현 휴먼 인터뷰, "그만둔단 말 잘 참았죠" (0) 2013.05.23 구글어스가 찾아낸 인간 얼굴 닮은 지형 (0) 2013.05.23 여성위장 남성에 접근...‘신종 꽃뱀 앱 발견’ 주의보" (0) 2013.05.23 ‘성형대국 대한민국’ 이대로 괜찮나 (0) 2013.05.22 무더운 여름철, 내 차 블랙박스 안전할까? (0) 2013.05.22 민물생선 즐기는 한국인 간흡충 감염자 93만명 (0) 2013.05.22 ‘윈도우8.1’, 이렇게 바뀐다 (1) 2013.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