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t Life/스마트 소식
-
컴퓨터 사용시 피로한 눈 어떻게 해결할까?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3. 14. 21:51
컴퓨터 사용시 피로한 눈 어떻게 해결할까? | 기사입력 2013-03-14 15:54 흔히들 치과에서 말하는 '333 원칙'이라는 것이 있다. 하루 3번, 식후 3분 이내, 3분 동안 칫솔질을 하면 잇몸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가운데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다 눈이 피로해지는 경우 이른바 '20-20-20' 전략을 활용하면 눈의 긴장감을 한결 풀어준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 메일에 따르면 20-20-20 전략은 컴퓨터를 이용할 때 20분마다 한 번씩 최소 20초는 쉬면서 20피트(약 6.1m) 멀리 떨어진 곳을 응시하는 것을 말한다. 텍사스대 남서부 메디컬 센터의 에드워드 멘델슨 박사는 "컴퓨터 사용자는 20분마다 20초는 쉬면서 20피트 떨어진 사물을 ..
-
보안 구멍뚫린 포털 클라우드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3. 14. 21:04
보안 구멍뚫린 포털 클라우드 | 기사입력 2013-03-14 17:57 포털계정 해킹땐 속수무책 에버노트 5000만 정보유출 비밀번호 자주 변경해야 #. 회사원 김모(29)씨는 네이버 N드라이브를 열어 보고 깜짝 놀랐다. 클라우드에 저장해 둔 여자친구 사진이 모조리 삭제된 것. 그는 "네이버 계정을 해킹한 해커가 N드라이브에 있는 자료들을 모두 지웠다"며 "개인적인 자료가 노출됐다고 생각하니 꺼름칙해 클라우드에 올렸던 자료들을 모두 외장하드로 옮겼다"고 말했다. 최근 포털 클라우드 서비스의 허술한 보안체계가 논란이 되고 있다. 국내 이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포털 클라우드 서비스는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N드라이브, 다음 클라우드 등이다. 이들이 제공하는 저장공간은 각각 5기가바이트(GB), 30GB, 5..
-
"휴대폰소액결제 한도, 이통사가 마음대로 못 바꿔"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3. 14. 15:26
"휴대폰소액결제 한도, 이통사가 마음대로 못 바꿔" 아시아경제 | 심나영 | 입력 2013.03.14 15:13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앞으로 이동통신사들이 이용자의 소액결제서비스 금액 한도를 높이려면 반드시 당사자의 사전동의를 받아야한다. 14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통신과금 서비스 이용자 보호 개선 대책'을 발표했다. 소액결제와 같은 통신과금서비스는 그동안 이용자들도 모르게 자동가입 됐다. 이 때문에 1200만명에 이르는 이용자가 이용가능 여부나 한도를 인지하지 못한 채 피해를 입었다다. 심지어 이통사는 가입자들 모르게 한도를 마음대로 올렸다. 이로인해 소비자들은 ▲이용자 동의없이 매월 결제는 자동결제 ▲쿠폰·이벤트로 유인한 후 유료로 전환하는 무료이벤트 ▲본인인증과 가입비 결제 이..
-
페북·트위터 사용女 25% ‘행복한 척’ 거짓글 올린다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3. 14. 08:57
페북·트위터 사용女 25% ‘행복한 척’ 거짓글 올린다 | 기사입력 2013-03-13 17:42 | 최종수정 2013-03-13 17:48 [서울신문 나우뉴스]적어도 여성 4명 중 1명은 자신의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과장 혹은 왜곡된 글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영국의 온라인 서베이 회사 원폴(OnePoll) 측에 따르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는 여성의 25%는 적어도 한달에 한번 ‘가짜 게시물’을 올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성인여성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설문 조사에서 이들이 주로 올리는 ‘가짜 글’은 휴가나 직장일을 미화하거나 집에 혼자 있으면서 시내에 나와있는 척 하는 글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이같은 ‘가짜 글’을 올리는 이유로는 친구나 지인들이 자신의 글을 보고..
-
'파밍'잡는 '파밍캅' 인기, "경남지방경찰청에서 다운받으세요"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3. 13. 22:05
'파밍'잡는 '파밍캅' 인기, "경남지방경찰청에서 다운받으세요" | 기사입력 2013-03-13 20:33 ▲ 파밍캅 [엑스포츠뉴스=이희연 기자] '파밍' 잡는 '파밍캅'이 등장했다. 최근 '파밍'피해가 급증하자 이를 예방하는 프로그램인 '파밍캅'이 인기를 끌고 있다. 파밍은 악성코드를 이용자 컴퓨터에 감염시킨뒤 진짜 은행 사이트에 접속시 강제로 가짜 은행사이트에 접속되도록 하게 한다. 이를 통해 금융거래 정보를 빼낸 뒤 이용자 예금을 인출해 가는 수법이다. 경남지방경찰청은 지난 2월 14일 전국 지방 경찰청 중 처음으로 신종 금융사기 수법 파밍을 예방하는 프로그램을 자체개발해 배포했다. 이는 악성코드가 감염시킨 hosts 파일을 제거할 목적으로 개발됐다. 파밍캅은 시중은행 21곳 사이트 접속시 사전에 ..
-
스마트폰 공인인증서 탈취앱 등장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3. 13. 20:14
스마트폰 공인인증서 탈취앱 등장 | 기사입력 2013-03-13 16:21 | 최종수정 2013-03-13 17:12 스마트폰 내에 저장된 공인인증서를 탈취하는 악성 애플리케이션(앱)이 등장했다. 하우리(대표 김희천)는 스마트폰에서도 공인인증서를 탈취하는 악성앱을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모바일 뱅킹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늘면서 스마트폰에 공인인증서를 저장하는 사용자들을 노린 공격까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 악성앱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문자메시지를 통해 설치된다. '보험료미환급금조회'라는 내용의 악성 문자메시지에 첨부된 단축 URL을 누르면 악성앱이 자동설치된다. 무료쿠폰 문자메시지 등을 위장한 다른 수법들과 마찬가지로 감염된 스마트폰에서 사진, 메모,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것은 물론 공인인..
-
안랩 "개인정보 노린 악성코드 '파밍' 변종 발견"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3. 12. 22:18
안랩 "개인정보 노린 악성코드 '파밍' 변종 발견" 연합뉴스 | 입력 2013.03.12 18:19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보안전문업체인 안랩은 최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노린 고도화된 파밍 악성코드 '뱅키'(banki)의 변종이 발견됐다고 12일 밝혔다. 파밍이란 이용자가 자신의 PC에 설치된 악성코드로 인해 유도된 가짜 금융사이트를 정상 금융사이트로 오인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보안카드와 비밀번호 정보 등 금융정보를 스스로 악성코드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형태의 보안 위협이다. 이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PC의 호스트 파일이 변경돼 정상 인터넷 뱅킹 사이트에 접속해도 자동으로 악성코드 제작자가 만든 가짜 사이트로 이동하게 된다. 이 가짜 사이트는 정상 사이트와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만들어..
-
"페북 '좋아요' 클릭만으로도 IQ 수준 알 수 있다"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3. 12. 11:58
"페북 '좋아요' 클릭만으로도 IQ 수준 알 수 있다" | 기사입력 2013-03-12 10:34 | 최종수정 2013-03-12 10:38 페이스북 로고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성격, 부모이혼, 알코올중독까지 신상정보 파악…사생활 침해 논란 일듯 (워싱턴·런던 AFP·AP=연합뉴스) 페이스북 이용자가 '좋아요'를 누른 이력만으로 해당 이용자의 성, 인종, 정치성향, 종교, 심지어는 IQ 수준과 부모의 이혼 여부까지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과 마이크로소프트 연구팀은 이용자가 누른 '좋아요'를 통해 이용자가 공개하지 않은 개인 신상까지 상당히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다고 11일(현지시간)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데이비드 스틸웰 케임브리지대 연구원은 "이용자가 상상하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