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t Life/스마트 소식
-
01X 번호사용자들의 고민.. "일찍 바꾸는 게 낫다"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7. 7. 20:54
01X 번호사용자들의 고민.. "일찍 바꾸는 게 낫다" 아시아경제 | 김영식 | 입력 2013.07.07 12:48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자신의 휴대폰 번호 앞자리에 011·016· 017·018·019를 유지한 채 스마트폰을 사용해 온 이들이 고민에 빠졌다. 내년부터 앞번호 010으로 일괄 변경되기에 이제는 오랫동안 사용한 '내 번호'를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3G 이동통신과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되면서 정부는 010으로 휴대전화 번호를 통합하기로 정책을 정했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10년 이상 써 온 자신의 '이름'과 같은 번호를 버릴 수 없다는 이유였다. 논란이 확대되자 지난 2010년 9월 당시 방송통신위원회는 2013년 말까지 010번호로 전환한다는 것을 조건으로..
-
무차별 'SNS' 고발자 무분별 '좋아요' 댓글족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7. 6. 12:49
무차별 'SNS' 고발자 무분별 '좋아요' 댓글족 신상 퍼나르기·잘못된 정보로 명예훼손·인권침해 우려서울신문 | 입력 2013.07.06 03:41 [서울신문]# 사례1대학생 김모(23)씨는 최근 페이스북을 보다가 '오토바이 사기를 당했습니다. 사기범 XXX를 고발합니다'라는 글을 발견했다. 중고거래 사기를 당했다는 글쓴이는 "직거래를 하겠다고 월차까지 썼는데 물건도 못 받고 돈도 돌려받지 못해 피가 거꾸로 솟는다"며 "사기범을 꼭 잡아달라"고 했다. 그는 선금을 받고 사라진 피의자의 이름과 전화번호, 계좌번호를 직접 게재했다. 이 글을 공유한 김씨는 "억울한 사연 등이 올라오거나 중고거래 사기범, 찜질방 스마트폰 절도범의 얼굴 사진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라오면 또 다른 피해를 막을 수 있을 ..
-
'야동'의 주인공이 된 당신,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7. 6. 08:04
'야동'의 주인공이 된 당신,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 기사입력 2013-07-05 16:05 지난 달 SNS에 OO여대 재학생이라는 제목의 동영상이 게시됐다. 한 여대생이 남자친구와 가진 성관계 장면을 촬영한 동영상이다. 해당 동영상을 USB넣어 다니던 남자가 이를 분실하면서 유출된 것이라고 한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동영상에 등장하는 여성이 자살했다', '해외로 도피했다' 등의 루머가 퍼졌으며, 논란이 된 게시물은 곧 삭제됐다. 사생활 침해 및 음란물 유포 앞서 말한 사례처럼 인터넷상에 개인의 사적인 사진이나 동영상 등이 노출돼 자신도 모르는 사이 피해가 커지는 일이 종종 있다. 실제로도 많은 성인사이트에 사생활을 담은 동영상이 유포되고 있으며, 토렌트, 웹하드 등을 통해 빠르게 퍼지고 있..
-
SNS포비아에 갇힌 사회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7. 6. 07:57
SNS포비아에 갇힌 사회 1면| 기사입력 2013-07-05 17:42 | 최종수정 2013-07-06 03:43 ■ 축구사태로 본 소셜네트워크 폐해 소통공간이 불통의 온상·패가망신 도구로 기업 비난하다 입사 낙방… 상사 험담 올리다 감봉도 사생활 벗기기·언어폭력 등 도넘어… 소송전까지 비화 #1. 대학생 이영호(32∙가명)씨는 지난달 한 대기업의 최종면접까지 올라갔다가 고배를 마셨다. 남부럽지 않은 학벌에 어학연수와 봉사활동 등 ‘스펙’ 하나만큼은 자신 있다고 생각했지만 “평소 대기업에 굉장히 비판적인데 왜 지원했나요?”라는 면접관의 한마디가 결정적이었다. 트위터 팔로어가 3,000명에 달하는 이씨는 평소 자신의 트위터에 재벌의 행태를 비난하는 글을 자주 올렸다. 이씨는 면접에서 낙방한 후 트위터 계정..
-
누리꾼 1/3 '가족 전화번호 몰라'…디지털치매 심각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7. 5. 20:57
누리꾼 1/3 '가족 전화번호 몰라'…디지털치매 심각 | 기사입력 2013-07-05 17:27 | 최종수정 2013-07-05 17:33 (AP=연합뉴스DB) 온라인 설문조사 업체 두잇서베이 보고서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인터넷 이용자 셋 중 한 명은 부모, 형제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못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스마트폰과 내비게이션 같은 디지털기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디지털 치매가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 5일 온라인 설문조사 기업인 두잇서베이가 남녀 5천823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33.7%가 부모, 형제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직계 가족의 것 외에는 기억하는 전화번호가 하나도 없다고 대답한 사람도 전체의 16.7%에 달해다. 타인의 전화번호를 1∼2개 기억..
-
한강둔치 바비큐 허용 방침에 누리꾼 '와글와글'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7. 5. 08:05
한강둔치 바비큐 허용 방침에 누리꾼 '와글와글' | 기사입력 2013-07-04 18:22 | 최종수정 2013-07-04 19:18 여의도한강시민공원 둔치로 나들이 나온 시민들. 서울시 "오염 등 우려 커 검토 안해" 시큰둥 (서울=연합뉴스) 국기헌 기자 = 한강 둔치나 남산 공원에서 바비큐 파티를 할 수 있도록 관련 시설 조성을 유도하겠다는 정부 방침이 공개되자 서울시는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인터넷 포털과 SNS 등에서는 새로운 여가 문화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공원 오염 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는 의견이 속속 올라오면서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정부가 4일 내놓은 서비스산업 1단계 대책에는 공원에서 가족 단위로 바비큐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지방자치단체들이 적극적으로 이런 시..
-
모바일결제 시장 연 NFC...금융시장 안착은 `아직`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7. 5. 07:50
모바일결제 시장 연 NFC...금융시장 안착은 `아직` 4면2단| 기사입력 2013-07-04 18:12 | 최종수정 2013-07-04 20:48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결제방식의 확산은 현금에서 플라스틱 카드로 이행해 왔던 결제수단의 중심축에 새로운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그 중심에 바로 근거리무선통신(NFC)기술이 자리 잡고 있다.모바일 결제서비스는 오프라인 근거리통신방식인 NFC와 모바일 POS(Point-Of-Sale), 원거리 방식인 통신과금(폰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결제방식인 인앱(In-App) 지불 등이 있다. 이 중 NFC는 모바일결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응용서비스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다. NFC 탑재 모바일 기기가 NFC 인식단말기에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각..
-
모바일 '짝퉁' 백신, 안드로이드 이용자 노린다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7. 4. 21:33
모바일 '짝퉁' 백신, 안드로이드 이용자 노린다 | 기사입력 2013-07-04 15:23 [머니투데이 이하늘 기자] 안드로이드 모바일기기를 겨냥한 짝퉁 모바일 백신. /사진제공= 시만텍스마트폰 보안용 백신으로 위장한 짝퉁 앱이 확산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시만텍은 4일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겨냥한 가짜 백신 프로그램이 크게 늘고 있다며 이용자들의 주의를 요구했다. 이 앱은 사기성 소프트웨어로, 컴퓨터가 악성 프로그램에 감염됐다는 거짓 검사결과를 통보해 이용자들이 존재하지도 않는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유료 결제를 하도록 유도한다. 감염 메시지는 결제가 이뤄지거나 악성 프로그램이 삭제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컴퓨터 화면에 팝업창으로 표시된다. 이 같은 짝퉁 백신 사기는 주로 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