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진돗개 워치콘 데프콘
    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3. 27. 12:03
    반응형

    軍, 강원도 최전방 '진돗개 하나' 한때 발령(종합)


    軍 중부전선 진돗개 발령 해제 (서울=연합뉴스) 27일 오전 2시 30분께 강원 화천군 최전방 GOP(일반전초)에서 경계근무 중이던 초병이 이상 물체를 발견했다.이에 따라 대간첩 대비태세인 '진돗개 하나'가 발령됐다가 북한군의 침투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이날 오전 해제됐다. 사진은 육군 장병들이 중부전선 최전방에서 경계근무를 서고 있는 모습. 2013.3.27 << 연합뉴스 DB >> photo@yna.co.kr

    화천 일대…북한군 침투흔적 없어 7시간만에 해제

    (서울·화천=연합뉴스) 김귀근 이재현 기자 = 27일 오전 2시 30분께 강원 화천군 최전방 일반전초(GOP)에서 경계근무 중이던 초병이 이상 물체를 발견했다.

    이에 따라 대간첩 대비태세인 '진돗개 하나'가 발령됐다가 북한군의 침투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이날 오전 발령 7시간만에 해제됐다.

    군 관계자는 "오늘 새벽 2시 30분께 경계근무 중인 초병이 GOP에서 미상 물체가 움직이는 것을 보고 수류탄을 투척했고 해당 부대에서 진돗개 하나를 발령했다"며 "날이 밝고 나서 수색대를 투입해 확인했으나 북한군의 침투 흔적이 없어 오전 9시20분에 진돗개 하나를 해제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과거에도 그런 적이 있다"며 "해당 부대에서는 매뉴얼에 따라 제대로 대응했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경계 병력이 고라니 등 야생동물을 북한군으로 오인해 수류탄을 투척하고 사격 조치를 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해당 지역을 정밀 수색했으나 발자국 등 북한군의 침투로 추정할 수 있는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진돗개'는 무장공비침투 등 북한의 국지도발 가능성에 대비한 방어 준비태세다.

    평소에는 '셋'을 유지하다가 북한군의 침투가 예상되면 '둘'로 올라가고, '하나'는 적의 침투 흔적 및 대공 용의점이 확실하다고 판단될 때 내려진다.

    2010년 11월 23일 북한군이 연평도 포격 도발을 감행했을 때도 진돗개 하나가 발령된 바 있다.

    hojun@yna.co.kr

     

     

    워치콘[ Watch Condition ]

    요약
    북한의 군사활동을 추적하는 정보감시태세로서 평상시부터 전쟁 발발 직전까지를 5단계로 나누어 발령한다.

    워치 컨디션(Watch Condition)의 약칭이다. 북한의 군사활동을 추적하는 정보감시태세를 말하며, 평상시부터 전쟁 발발 직전까지 5단계로 나누어 발령한다. 1981년부터 운용되었으며, 평상시에는 4단계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황이 긴박해질수록 낮은 숫자의 단계로 격상된다. 이때 격상 발령은 한국과 미국 정보당국간의 합의에 따라 이루어진다.

    워치콘5는 징후 경보가 없는 일상적 상황,

    워치콘4는 일상적 생활을 하고 있으나 잠재적 위협이 존재하여 계속 감시할 필요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워치콘3은 국가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상황으로서 정보요원의 근무를 강화하고 전원이 정위치에서 근무하거나 대기하며 적정(敵情)을 주의 깊게 감시한다.

    워치콘2는 국익에 현저한 위험을 초래할 징후가 뚜렷한 상황, 곧 북한의 도발위협이 심각하여 비상태세를 갖추고 첩보위성의 사진정찰과 정찰기 가동, 전자신호 정보수집 등 다양한 감시와 분석 활동을 강화한다.

    최고 단계인 워치콘1은 적의 도발이 명백한 상황에 발령한다.

    워치콘3은 1992년 10월 북한이 모든 남북대화를 중단하고 준전시 상태를 선포하였을 때 발령되었으며, 한미연합사령부는 북한의 도발이 언제라도 가능한 한반도의 분단 상황을 고려하여 평상시에도 워치콘3을 발령하고 있다. 워치콘2는 1982년 2월 북한이 IL-82 폭격기들을 전진배치하였을 때, 1996년 4월 5일 북한이 판문점에 무장병력을 투입하였을 때, 1999년 6월 제1연평해전(서해교전)이 발발하였을 때, 2006년 10월 북한이 1차 핵실험을 하였을 때 그리고 2009년 5월 북한의 2차 핵실험 강행과 미사일 발사 등으로 한반도의 위기 상황이 고조되었을 때 등 모두 5차례 격상되었다. 워치콘1은 정전 이후 한 번도 발령된 적이 없다.

    한편, 전투준비태세 또는 방어준비태세를 뜻하는 데프콘(Defence Readiness Condition)은 워치콘의 발령 상태에 따라 격상을 검토하지만 워치콘 격상에 따라 직접 연동하지는 않는다. 1999년 제1연평해전이 발발하여 워치콘2가 발령되었을 때, 서해 현장 부근의 육군·해군·해병 부대들은 데프콘3에 준하는 전시준비태세를 갖추었다. 그러나 2009년 5월 북한이 2차 핵실험을 강행하여 워치콘2로 격상되었을 때는 경계강화태세인 데프콘4를 유지하였다. 

     

    데프콘[ Defense Readiness Condition ]

    요약
    정규전에 대비해 발령하는 전투준비태세.

    전투준비태세·방어준비태세라고도 한다. 모두 5단계로 나뉘며, 숫자가 낮아질수록 전쟁발발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Watch Condition) 상태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전군(全軍)에 내려지는데,

    데프콘 5는 적의 위협이 없는 안전한 상태를 말하고,

    데프콘 4는 대립하고 있으나 군사개입 가능성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한국에는 1953년 정전 이래 데프콘 4가 상시적으로 발령되어 있다.

    데프콘 3은 중대하고 불리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긴장상태가 전개되거나 군사개입 가능성이 있을 때,

    데프콘 2는 적이 공격 준비태세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을 때 발령된다.

    데프콘 1은 중요 전략이나 전술적 적대행위 징후가 있고, 또 전쟁이 임박해 전쟁계획 시행을 위한 준비가 요구되는 최고준비태세 때 발령된다.

    한국의 경우 데프콘 3이 발령되면, 한국군이 가지고 있는 작전권이 한미연합사령부로 넘어가고, 전후방 부대의 움직임이 달라지며, 전군의 휴가·외출이 금지된다. 데프콘 2가 발령되면 전군에 탄약이 지급되고, 부대 편제 인원이 100% 충원된다. 데프콘 1이 발령되면 동원령이 선포되고, 전시체제로 돌입된다. 1999년 6월 15일 서해상에서 남북함정 교전사태가 발생했을 때, 데프콘 3에 준하는 전투준비태세강화 지시가 발령되기도 하였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