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뱅킹 시 보안카드 오류 뜨면 해킹 의심해야Smart Life/스마트 소식 2013. 7. 3. 20:54반응형
인터넷뱅킹 시 보안카드 오류 뜨면 해킹 의심해야
[헤럴드경제= 정태일 기자] 앞으로 인터넷뱅킹 보안카드 번호를 입력할 때 단 한 번의 오류 메시지가 뜨더라도 해킹을 의심해보는 것이 좋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정보보안기업 안랩은 경찰청에서 발표한 인터넷뱅킹 계정 탈취 악성코드 분석 결과, 사용자가 보안카드 번호를 입력하면 공격자가 오류 창을 띄우면서 이 번호를 가로채는 방식으로 추정된다고 3일 밝혔다.
이 방식은 사용자가 번호를 입력하더라도 은행으로 보고되지 않고 공격자에게 바로 전달됐기 때문에 공격자는 해당 계좌에서 가로챈 보안카드 번호로 금전을 탈취할 수 있다.
이는 단 한 번의 오류 메시지를 띄우면서도 번호를 빼갈 수 있는 신종 수법이다. 사용자 자신이 번호를 잘못 입력했거나 해당 금융 사이트 점검으로 오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성이 크다고 안랩은 지적했다.
오류창을 띄우는 방식은 같지만 또 다른 방식의 악성코드도 나타났다고 안랩은 밝혔다. 이는 1~35번 모든 보안카드 번호를 알아 내기 위해 오류 메시지를 반복하며 띄우는 수법으로 추정된다. 다만 여러 차례 오류 메시지가 나타는 동안 사용자가 해킹을 의심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피해 빈도는 적을 것으로 안랩은 내다봤다. 하지만 성공할 경우 공격자는 보안카드 전체 번호를 갖고 있는 셈이어서 금전 피해 규모가 클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악성코드는 보안카드 번호뿐만 아니라 보안모듈 메모리를 해킹해 금융기관의 실제 아이디 및 비밀번호,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도 탈취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타깃으로 삼은 은행 등 해당 금융기관에 맞춤형으로 악성코드가 제작된 최초의 시도라고 안랩은 설명했다.
또 사전 공격 없이 악성코드만으로 금융기관에 적용된 보안 제품(적용된 공인인증서와 키보드 보안 솔루션 등)과 인터넷 뱅킹의 보안 매카니즘(보안카드)을 동시에 직접 해킹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정상적인 금융 사이트 접속 및 정상 보안 모듈 구동을 유지하면서 수행하는 공격 시도라서 해당 금융기관 서버에서 감지하기 어렵다고 안랩은 강조했다.
김홍선 안랩 대표는 “게임 보안 모듈 공격에 악용됐던 메모리 해킹 방식이 금융사 보안모듈 해킹에 적용된 첫 사례”라며 “인터넷 뱅킹으로 금전 거래 시 반드시 관련 진단ㆍ치료 기능이 탑재된 백신 프로그램으로 사전 검사 후 이용해야 한다”고 말했다.'Smart Life > 스마트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결제 시장 연 NFC...금융시장 안착은 `아직` (0) 2013.07.05 모바일 '짝퉁' 백신, 안드로이드 이용자 노린다 (0) 2013.07.04 "스마트폰 노안, 데테크…" 스마트시대의 신조어들 (0) 2013.07.04 LTE-A가 뭐길래, 사용자를 위한 길라잡이 5가지 (0) 2013.07.04 정액요금제 변경, 월 초 해야 가장 '유리' (0) 2013.07.04 페이스북, 이렇게 쓰면 친구 없어진다 (0) 2013.07.03 은행 보안카드 뚫렸다? (0) 2013.07.03 1조원에 팔아넘긴 SNS업체 5년만에 11억원에 되사 (0) 2013.07.02 영문·숫자·특수문자까지..'비번 암기 스트레스' (0) 2013.07.02 "삼성, 5.7인치급 갤노트3, 9월4일 공개" (0) 2013.07.02